:::::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성과중심 교육운영을 위한 조직 내 협업모델

 

HRD × 리더십 × 성과관리팀의 전략적 삼각 협업

 

 

조직 내 교육이 성과와 무관한 일로 여겨지는 순간, HRD는 경영의 변방으로 밀려난다.

이는 교육의 문제라기보다 연결되지 못한 조직 설계의 문제.

현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교육은 HRD가 설계하고,

현업 리더는 관여하지 않으며,

성과관리팀은 성과와 무슨 상관?”이라 묻는다.

교육이 전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 세 축HRD, 현업 리더, 성과관리팀이 하나의 루프를 이루어야 한다.

, 교육이 성과로 전이되기 위한 협업 인프라가 필요하다.

 

 

 

HRD: 교육의 전략화를 설계하는 조율자

 

단순한 교육 운영자가 아니라, 조직 변화의 건축가로.”

HRD팀의 역할은 더 이상 단순한 교육 기획에 머물 수 없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로 전환되어야 한다.

- 성과 요구 기반 분석자: 교육의 출발을 성과 문제에서 시작하도록 전환

- 전이 설계자: 교육 내용이 현업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후속 연계 기획

- 조직 내 커뮤니케이터: 리더 및 성과팀과의 정기적인 연계 루틴 설계

이제 교육은 기획 운영이 아니라,

성과 요구 분석 실행 설계 전이 구조 설계 측정 및 피드백이라는 성과 루프를 따라야 한다.

 

 

 

현업 리더십: 교육의 전이와 실행을 설계하는 파트너

 

교육을 성과로 바꾸는 결정적 순간은 교육장에서가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한다.”

리더는 교육의 고객이 아니라, 공동 설계자여야 한다.

특히 리더의 참여는 다음 세 가지 지점에서 중요하다.

- Before: 교육 니즈 도출 시 현장의 과제와 성과 목표를 공유

- During: 교육 대상자의 참여 동기 유발, 리더의 메시지를 통한 정당성 부여

- After: 교육 후 적용 점검, 성과 코칭, 실행 촉진

현업 리더는 학습의 현장 접속자.

그들의 참여 없이는 어떤 전이도 실현되지 않는다.

 

 

 

성과관리팀: 교육의 경영 연결성을 설계하는 번역자

 

성과 데이터는 교육의 존재 근거를 증명하는 가장 단단한 언어다.”

성과관리팀은 교육의 전략성과를 언어화하고 지표화하는 데 중요한 파트너다.

- 교육 목표와 조직 KPI 사이의 연결성 설계

- 성과 전환 추적을 위한 측정 지표 및 도구 지원

- 교육이 전략 실행에 기여한 성과 변화 요인 분석

성과-관리팀이 교육과 연결될 때, 교육은 단순 지식 전달에서 전략 실행의 엔진으로 진화할 수 있다.

 

 

 

HRD × 리더 × 성과팀의 통합 운영모델


단계

HRD 역할

리더 역할

성과팀 역할

성과 기반 교육 니즈 분석

성과 문제 인터뷰/진단

현업 과제 공유

성과지표 제공

교육과 전이 설계

콘텐츠 기획, 실행 시나리오 설계

교육 내용 사전 브리핑

전이성과 예측 협의

교육 실행 및 리더 동기화

강사 운영, 실습 중심 진행

사전 동기부여 메시지 전달

교육 전후 데이터 공유

교육 후 전이 촉진

리더/성과팀과 전이미팅

실행 점검/코칭

성과추적 및 인사이트 분석

교육성과 보고

교육성과 문서화

실행 사례 제공

성과 지표와 연결한 보고

 

 

 

마무리하며: 교육은 협업 구조가 만들어낸 성과다

 

교육은 절대 혼자 할 수 없다.

그것은 리더십, 전략, 성과 측정이 맞물리는 조직적 행위다.

성과 중심 HRD전사 협업의 결과물이며,

교육이 혼자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성과 목표에 기반한 교육이 전사적으로 공유되고 실행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제 HRD는 묻지 말자: “교육을 어떻게 잘할까?”

이제는 물어야 한다.

이 성과를 위해 우리는 어떻게 교육을 연결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