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저성과자를 성과자로 전환하는 법

 

HRD의 전략적 개입과 퍼포먼스 회복 설계

 

저성과자는 조직의 고민이다.

그러나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처벌이 아니라 전환의 가능성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때 HRD문제 진단자이자 학습 경로 디자이너, 그리고 성과 회복을 촉진하는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저성과 성과 전환: 왜 쉬운 일이 아닌가?

 

저성과 전환의 실패는 대부분 단편적 개입에서 비롯된다.

-단지 코칭만 제공한다

-단지 교육만 시킨다

-단지 면담만 반복한다

하지만 성과는 복합적 요인(역량, 의지, 배치, 문화)에 따라 발현된다.

따라서 회복도 통합 설계여야 한다.

 

 

 

저성과자 전환의 핵심 프로세스

.

다음은 HRD의 전략적 개입을 위한 5단계 전환모델이다.

단계

질문

HRD 개입 전략

진단

왜 저성과자인가?

4요소 진단 (역량, 동기, 조직적합, 환경)

통찰

본인은 어떻게 느끼는가?

자기인식 기반 인터뷰, 360 피드백 공유

경로설계

어떤 길이 회복의 길인가?

맞춤형 성장계획(PDP) + 교육 설계

실행

실행 가능한 목표는 무엇인가?

마일스톤 기반 목표 + 관리자 동반 실행

전환

어떤 변화를 관찰하고 강화할 것인가?

긍정 피드백 + 중간 결과 공유 + 인식 재프레이밍

 

이 모든 단계는 성과관리팀 × 리더 × HRD의 협업으로 작동해야 한다.

 

 

 

HRD의 핵심 개입도구: 퍼포먼스 리커버리 킷(Performance Recovery Kit)

영역

개입 방식

예시

진단

간단한 5분 자가진단

"나는 지금 내 일이 중요하다고 느끼는가?"

방향

리프레이밍 질문 카드

최근 1주일간 가장 뿌듯했던 일은?”

목표

Micro-OKR 설정

이번 달은 고객 응답률 10% 향상

교육

1:1 스킬업 학습

소그룹 실습, 롤플레이, 직무 기반 실습

피드백

피드백 가이드 제공

관리자용 체크리스트: 관찰-피드백-격려

 

문제 관리가 아닌 회복 설계로 접근할 때 진짜 성과 전환이 시작된다.

 

 

 

성과 전환 성공사례의 공통점


리더가 진심으로 관여한다

단순 지시가 아닌 같이 걷는 사람으로 존재함

실행 가능한 작은 목표를 반복 달성

스몰 윈(Small Win)을 누적시킴

성장 인식의 전환

나는 할 수 있다는 자기 효능감 회복

조직의 기대가 바뀐다

구성원이 바라보는 시선이 전환의 자산이 됨

 

 

 

마무리: 저성과자는 버그가 아니라 시그널이다

 

저성과자는 고장난 구성원이 아니다.

그들은 조직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그널이다.

이 신호를 놓치지 않고,

그 사람을 회복의 중심으로 끌어들이는 리더십과 HRD의 전략이 바로

지속 가능한 성과문화의 기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