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경력개발이슈: 포트폴리오 커리어 프로그램(PCP)


한 사람, 여러 역할의 설계로 경력의 곡선을 다시 그려본다.

 

조직은 직함이나 직무의 역할을 주지만, 경력은 개인 스스로 편집하여야 한다.

몇 줄의 직무가 아니라 여러 문장으로 엮인 생애의 포트폴리오.

이것이 오늘날 인재 전략이 될 수 있다.

아직 현장에서는 생소할지 모르지만, PCP(Portfolio Career Program)는 직원이 본업을 유지하면서도 보조 역할·단기 프로젝트·전문기여를 병렬로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를 말한다.

 

 

왜 지금, PCP인가?

근본 이슈

조직 관점의 징후

직무 분절·기술 수명 단축

동일 직무 내 정체·이탈 증가

내부 이동의 마찰

하려는 사람허용 시스템의 간극

리텐션(retention)의 피로

보상만으로는 남지 않음기회의 결핍

 

PCP는 인재가 떠나기 전에, 조직 안에서 다른 자신을 만나게 하는 것이다(그렇다고 이리저리 떠나라는 것은 아님)

결과는 두 가지다: 학습의 가속조직 탄력성의 증대.

 

 

 

PCP 운영의 핵심 5단계

 

Discover(진단): 개인의 강점·흥미·전이 가능한 스킬을 30분 설문과 상사 인터뷰로 파악.

Design(설계): 본업 70%를 지키되 30% 내 경력 실험을 배치(4시간 규칙, 6~12주 스프린트).

Deal(합의): 목표·시간·성과범위를 3자 합의서(직원·리더·HRD)로 명문화 대체 인력·업무조정 포함.

Do(실행): 마이크로 과제(2주 단위) + 멘토 페어링 + 체크인(격주 30)로 추진.

Debrief(회고): 6/12주차 성찰 리포트(배운 점·재사용 산출물·다음 실험) 제출, 포트폴리오에 기록.


- 원칙: 작게·빨리·반복. 완벽보다 주기가 조직을 바꾼다.

 

 

 

다양한 PCP 설계 유형

 

유형

적용 조건

특징

사이드 프로젝트형

본업 안정, 호기심 높음

6주 미션·산출물 공개, 배지 부여

로테이션 스프린트형

인접 직무 탐색

8~12주 그림자+부분책임, 리스크 낮음

문제해결 태스크형

특정 현안(품질·CS )

다부서 혼합팀, 결과 지표 연동

전문기여(Internal Gig)

특정 전문스킬 보유

20h 자문·리뷰, 지식 자산화

리턴십·복귀 브릿지형

공백 후 복귀자

최신화 러닝+안전한 소규모 과제

 

 

 

성공을 좌우하는 3가지 조건

 

-시간 보호중요한 경력 개발 활동을 위해 일정에 미리 시간을 확보하고 그 시간 동안
   원래 하던 업무를 어떻게 조정할지 미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
.

-공정 보상: PCP 참여는 가시적 성과 반영으로 이어져야 자발성이 지속된다.

-리더 동행상사가 단순히 해도 된다고 허락하는 게 아니라, 경력 개발 활동을 함께

 고민하고, 계획하는 파트너가 되어야 하고, 중간 점검은 감시나 평가가 아니라, “왜 이 

 활동이 중요한가?”,     “어떤 의미가 있었는가?”를 함께 되짚어보는 시간을 갖는 

 동반자 역할이 필요함

 

 

 

간단 사례

 

소매기업 C사는 데이터·상품·MD 장벽으로 신제품 실패율이 높았다.

HRD8문제해결 태스크형 PCP를 도입,

각 부서에서 20% 시간을 떼어 혼합팀을 구성했다.

2주 단위로 고객 데이터가설매장 실험리뷰를 반복하고, 산출물은 전사 레포에 공개.

3개월 후 테스트-런칭 리드타임 30% 단축, 참여자 62%가 내부 이동을 신청했다.

떠날 이유 대신 남을 이유가 생긴 것이다.

 

 

정리하면

 

이것을 잘 운영하면 진정한 인재개발이 될 수 있으며 학습조직을 완성하는 길이 된다.

 

PCPHRD의 실무 도구이다.

   직원의 보유 스킬을 찾아 사내 프로젝트·역할과 연결해 주는 제도이다.

PCP는 조직 내부의 잠재력을 기회로 바꾼다.

   숨은 역량을 보이는 곳으로 끌어내어, 필요한 곳에 빠르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HRD의 역할은 운영자이다.

   필요한 역량을 정리하고, 참여 시간·보상·평가 규칙을 만들며, 리더와 일정 조정을 한다.

경력은 한 줄로만 이어지지 않는다.

   PCP6~12주 단기 과제처럼 작은 단계로 경험을 설계해, 현실적인 경력 계획으로 바꾼다.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경험하면 효과가 커집니다.

   개인은 빠르게 성장하고, 조직은 대체 인력 확보·아이디어 확장·리스크 분산의 이점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