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경력개발이슈: 내부 이동의 기술


떠나지 않고 바뀌는 법, HRD가 설계하는 성장의 통로

 

개인은 이직으로 새 길을 여는 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조직은 그 칼날을 매번 감당할 수 없다.

내부 이동(Internal Mobility)은 인재가 회사를 떠나지 않고 역할·관점·책임을 바꾸어 성장하는 공식 경로로 활용할 수 있다.

HRD가 이 통로를 제대로 설계하면, 개인은 경력의 정체를 돌파하기도 하고, 조직은 핵심 지식을 보존한 채 역량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기도 한다.

 

 

왜 내부 이동인가: 채용보다 빠르고, 이직보다 안전하다

 

학습 속도: 기존 맥락·문화 이해를 기반으로 전환 학습이 빠르다.

비용 효율: 외부 채용 대비 온보딩·리스크 비용이 낮다.

리텐션(retention) 효과: “회사 안에서 다음 기회가 있다는 신호가 몰입을 높인다.

 

문제는 의지보다 제도와 설계.

조직의 인사관리에서 이동을 위한 공고가 닫혀 있고, 상사가 허락하지 않으며, 이동 후 성과 기대가 모호하면 좋은 의도도 정체해 버린다.

 

 

 

내부 이동 실행 프레임워크: MOVE

 

● Map 수요·공급 지도를 만들라

역할·스킬 맵 작성: 전환 가능한 인접 역할(: 영업영업기획)을 명시.

이동 적합도 기준: 최소 재직기간, 최근 성과, 핵심 스킬 하한선.

 Open 공정하게 기회를 열라

사내 공고 표준화: 역할, 요구 스킬, 전환 교육, 평가일정 공개.

이해상충 방지: 현 조직장의 사유화를 막는 승인 SLA(: 10영업일).

- SLA(Service Level Agreement): 특정 요청(: 인사이동, 프로젝트 승인, 예산 집행 등)에 대해 얼마나 빠르게 승인해야 하는지를 정해놓은 시간 기준 약속

   ● Verify 전환 적합성을 검증하라

샘플 과제/케이스 리뷰로 실전 적합도 확인(면접만으로 부족).

2~4섀도잉(Shadowing)/파트타임 트라이얼로 상호 검증.

- 섀도잉(Shadowing): 해당 역할을 수행 중인 직원을 옆에서 관찰하며 배우는 과정. 예로 영업기획으로 전환을 희망하는 영업 담당자가, 영업기획자의 회의 참석, 보고서 작성, 전략 수립 과정을 일정 기간 함께하며 실무를 체험.

- 파트타임 트라이얼 (Part-time Trial): 기존 역할을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새로운 역할을 병행 수행해보는 시범 근무. 예로 마케팅팀으로 전환을 희망하는 개발자가, 2회 마케팅 프로젝트에 참여해 콘텐츠 기획이나 데이터 분석을 직접 수행해보는 것.

    Enable 전환을 가능하게 하라

전후 갭 브리지 학습팩(필수 모듈·멘토·현장 체크리스트).: 조직 내 인재 전환이나 직무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역량의 간극(gap)을 메우기 위한 맞춤형 학습 콘텐츠 묶음

시간 보호: 전환 준비 20% 시간 블록, 종료 후 30·60·90일 지원.

 

 

 

HRD 운영 체크리스트(간결형)

이동 공고에 역할·스킬·평가 기준이 명확히 적혀 있는가?

이동 후보자에게 샘플 과제와 평가 루브릭이 제공되는가?

섀도잉/트라이얼을 표준 옵션으로 두었는가?

전환 학습팩(핵심 모듈·멘토링·현장 과제)이 준비돼 있는가?

기존 조직장과의 업무 인수인계 캘린더가 합의됐는가?

이동 후 30·60·90일 목표·점검 회의가 캘린더에 반영됐는가?

이동 성과·재이동률·리텐션(retention) 지표 대시보드가 운영되는가?

 

 

 

관리자·구성원 각자의 역할


 관리자

이동허가가 아니라 공동 설계로 대한다.

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인수인계 계획HRD와 함께 만든다.

이동 후 90, 성과와 학습을 분리해 점검한다(성과가 더디면 학습을 보강).

 구성원

이동 동기의 핵심을 역량·기여 관점으로 언어화한다(“무엇을 배우고 어떤 문제를 풀겠다”).

포트폴리오에 증거를 쌓는다: 샘플 과제, 협업 후기, 재사용 가능한 산출물.

 

 

지표로 확인하는 효과(필수 4)

- 내부 충원 비율: 핵심 역할의 내부 충원율

- Time-to-Fill: 공석 채움 리드타임 단축

- 이동 후 6개월 성과: 목표 달성률·품질지표 차이

- 리텐션(retention): 이동 참여자의 12개월 잔존율

 

 

간단 사례

제조·물류 복합기업 D사는 중간관리자 이탈로 공백이 잦았다.

HRDMOVE 프레임을 적용, 사내 공고 표준화와 섀도잉+트라이얼(3)을 도입했다.

전환자는 기초 원가·생산성 모듈을 선수로 수강하고, 현장 멘토와 1회 체크인을 진행함.

6개월 후, 중간관리자 공석의 내부 충원 비율 68%, 채움 리드타임 35% 단축, 이동 참여자의 12개월 잔존율 1.6를 기록했다.

 

 

 

마무리: 내부 이동은 허용이 아니라 설계

 

내부 이동이 좋은 문화로 확장하려면, 공정하게 열고(OPEN), 작게 시험하며(VERIFY), 시간을 보장하고(ENABLE), 지표로 확인(MEASURE)해야 한다.

HRD가 이 루틴을 굳히면, 사람은 떠나지 않고도 성장할 수 있다.

경력관리의 방향을 바꾸는 능력이 곧 조직의 적응력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