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공정한 개인평가, 리더의 기술로 완성하라

 

제도 이전에 숙련: HRD가 만들어야 할 평가 역량의 운영체계

 

 

직원평가가 공정하지 않다는 말은 조직의 오래된 아픔이다.

제도는 복잡해지고 지표는 늘어나도, 결과에 대한 신뢰는 늘 제자리일 수 있다. 이유는 단순하다.

평가는 제도가 아니라 숙련이며, 숙련은 훈련과 루틴으로 생긴다.

HRD가 할 일은 평가을 위한 교육을 하루 열어주는 것이 아니라 리더의 평가스킬을 작동하는 습관으로 만들 시스템을 깔아주는 것이다.

또한 HRD부서는 회사내 부서의 역할에서 HRM과 중복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육성이라는 차원에서 리더의 역할수행에 기여하도록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1. 무엇이 문제인가: 공정성을 무너뜨리는 다섯 가지 습관

 

○ 가까운 기억/친한 관계의 영향 : 최근 일과 친소감정이 점수를 좌우한다.

○ 기준이 제각각 : 역할마다, 리더마다 좋은 성과의 기준이 다르다.

○ 근거가 약하다 : 수료증·자기보고에 의존, 실제 산출물과 행동 기록이 부족하다.

○ 대화가 막힌다 : 평가면담이 통보나 방어로 끝난다.

○ 시간이 보호되지 않는다 : 관찰·기록·피드백이 늘 잔업으로 밀린다.

 

해결은 제도 보완만으로 되지 않는다.

관찰기록판단대화교정이라는 리더의 작은 기술루틴으로 만드는 설계가 필요하다.

 

 

2. 실행 틀 : 평가 루프

 

2-1) 기준부터 맞추기 역할 한 장 정리표

       팀별로 한 장으로 끝냅니다.

○ 이번 분기 반드시 해낼 일 3가지

○ 잘했다눈으로 확인할 기준(: 불량률 1%p, 문의 24시간 내 처리)

○ 현실 제약 2가지(인력 공백, 데이터 지연 등)

      의미: “좋고 나쁨이 아니라 무엇으로 볼지를 먼저 합의함

 

2-2) 말이 아닌 근거 증거 묶음

       4주마다 사람별로 작은 근거 3을 쌓습니다.

○ 산출물 1(파일·보고서·매뉴얼 링크)

○ 수치 1(처리시간, 오류율 등)

○ 현장 한 줄 의견 1(동료·내부고객 코멘트)

      원칙: 수료증 같은 자료는 참고, 중심은 일의 흔적.

 

2-3) 점수 주기 전 2분 멈춤 생각편중 점검표

       다섯 문장으로 스스로 확인합니다.

○ 최근 일만 떠올리는가?

○ 친소감정이 섞였는가?

○ 한 인상이 전체를 덮는가?

○ 같은 수준을 같은 잣대로 봤는가?

○ 근거가 부족한데 기억으로 메웠는가?

 

2-4) 서로 눈높이 맞추기 서로 맞춰보기 회의

       동급 리더 2~3명이 30 모입니다.

○ 각자 사례 2건씩 기준·근거·점수 이유를 공유

○ 우리 팀이라면 몇 점?”을 묻고 차이를 좁힘

○ 합의된 예시 문장을 저장(다음 평가에 참고)

 

2-5) 통보가 아닌 설계 평가 대화 5

       읽고 그대로 말하면 됩니다.

○ 상황(이번 분기 맡은 일) 기여(스스로 한 일) 3) 결과(수치 변화) 되돌아보기(어려움·배움) 다음(2주 안에 할 한두 가지)

비율은 통보 20% : 함께 설계 80%

 

2-6) 확정 후에도 손보기 30·60·90일 점검 루틴

       평가 확정 후 30/60/90에 목표·행동·지표를 다시 확인하고 보강한다.

       HRD는 팀별 실행률을 대시보드로 공개한.

 

 

3. 리더를 바꾸는 세 가지 작은 습관

○ 주간 10분 관찰·메모: 회의·고객응대 등에서 본 행동을 2~3줄 기록.

○ 증거 3종 묶기: 사건 하나당 산출물·수치·현장 한 줄을 함께 저장.

○ 48시간 내 미니 교정 대화: 신호가 보이면 15평가 대화 5으로 바로잡기.

HRD는 이 습관을 과제화하고, 팀장끼리 15분 실습 모임으로 반복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

 

 

4. HRD 운영 체크리스트

모든 직무에 역할 한 장 정리표가 있다.

리더 캘린더에 관찰 10·일대일 면담·맞춰보기 회의가 고정됐다.

분기별 증거첨부 제출률 90%이상를 유지한다.

평가 전 생각 치우침 점검표를 문서로 남긴다.

맞춰보기 회의가 월 1회 돈다(30).

일대일 면담은 평가 대화 5으로 운영한다.

면담 요약이 시스템에 보존된다(개인정보 보호 준수).

평가 후 30·60·90일 점검 루틴 실행률을 공개한다.

교육 수료보다 행동·산출물·지표를 근거로 삼는다.

이의 제기 시 근거 보강 대화보완 학습을 연결한다.

 

 

5. 리더 실습 모듈(4주 패킷)

1: 기준 맞추기: 우리 팀 역할 한 장 재작성(핵심 산출물·행동 기준), 사례 피드백

2: 근거 모으기: 실제 과제 1건으로 증거 3 기록, 동료 상호검토

3: 치우침 바로잡기: 일부러 편향된 가짜 평가안 점검표로 교정 실습

4: 대화 실전: 평가 대화 5 롤플레이(쉬움/어려움 케이스), 코칭 피드백

평가 항목: 산출물 품질, 동료 피드백, 실제 일대일 면담 적용률

 

 

간단 사례

IT서비스 기업 N사는 반기마다 공정성 논란이 반복되었다.

HRD역할 한 장 정리표증거 묶음을 의무화하고, 평가 전 생각 점검과 월 1맞춰보기 회의를 도입했다.

면담은 평가 대화 5으로 표준화했고, 30·60·90일 점검을 붙였다.

한 분기 후, 평가 결과에 대한 납득도 18%p, 이의 제기 40%, 평가 후 60목표·행동 교정률 2.

바뀐 것은 포맷이 아니라 습관이었다.

 

 

마무리

공정성은 감정이 아니라 기술의 문제이.

기준을 한 장으로 맞추고, 근거를 꾸준히 모으고, 치우침을 점검하며, 대화로 설계하는 이 루프가 돌기 시작하면 제도는 비로소 살아 움직일 수 있다.

HRD가 그 루프를 리더의 손에 쥐여줄 때, 평가는 공정성이 살아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