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시대에 인재의 육성과 활용은 기업의 경쟁우위 선점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화두로 떠올랐다.

따라서 인적자원개발은 재조명되고 있는 동시에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업은 각각의 방식으로 교육훈련에 관심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인적자원기업의 중요한 자산이며 조직의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업에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독창적 가치를 창출하면  이는 경쟁기업이 모방하기 어려운

그 기업만의 경쟁우위 요소가 되는 것이며, 기업의 성과에도 기여하게 된다.

기업교육훈련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은 교육을 통한 성과향상과 이윤추구를 달성하기

위함이며, 기업의 혁신적인 문화와 실제 업무와의 연관성, 그리고 조직 입도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현대교육훈련은 직무역량의 이해뿐만 아니라 국제화 시대에 따른 창의또한 요구하고 있다.

대기업경우 경기변동과 국가경제의 상황에 따라 경영환경의 영향을 보이며 교육훈련투자의

규모 역시 상황과 연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은 교육의 목표인 노동생산성의 향상, 개인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경영환경의 변동에 따라 교육훈련과 그 비용의 규모를 수정해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국가와 기업의 경기침체에 대비하기 위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교육훈련투자의

규모 조정이라는 대안을 마련했다.

특히 대기업은 경기변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교육훈련투자를 변화시켰고, 비정규직 근로자의

채용, 외부노동시장으로 부터의 경력채용으로 이어졌다.

외부환경요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교육투자 대비 교육효과의 극대화를 누리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제도와 경력사다리가 통합된 상태에서 교육훈련시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훈련

제도와 경력사다리의 체계적 통합여부를 평가하려면 무엇보다 교육훈련을 총괄하는 조직의

존재여부와 교육훈련부서(제도)와 인사조직부서(제도)간의 결합여부와 같은 세부 요소들에 대한

세밀한 분이 요구된다. 이 세부조직들의 밀접한 업무 연계하에서 교육업무를 수행하고 있어야

교육훈련 투자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변화에 따른 교육훈련 내용의 변화 가능성, 교육훈련의 현대화가  기업교육 훈련의 효율화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적으정부, , 개인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적자원개발각각의 상호 역량보완

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해야 한다. 특히 기업장기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인 교육훈련 투자 계획을

수립해서 경쟁력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출처 : 한국HRD협회 / 채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