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0년안에 밀레니엄 세대가 우리사회의 허리역할을 맡게 된다. 바야흐로 세대교체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밀레니엄 세대는 자유분방하고 개방적이다. 따라서 개인의 가치 · 목표가 조직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크게 미련을 두지 않고 조직을 떠난다. 이러한 세대가 주가 되는 사회에서
‘100년 기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독창적인 핵심가치 내재화 교육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고려아카데미컨설팅, 구루피플스㈜ 아그막, 데일카네기코리아, 오디코리아, 윌스너스,
인코칭, PSI컨설팅 등 7개의 교육기관을 통해 특색있는 ‘핵심가치 내재화 교육’에 대해 고찰했다.
각각의 교육기관들은
저마다의 교육방식을 개발 · 적용하여 기업의 핵심가치 내재화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
1. 고려아카데미컨설팅의 핵심가치교육은 오프라인 수업에 앞서 온라인을 통해 관련 영상을 미리
학습한 후, 집체교육에서 토론이나 과제풀이의 워크샵 형태로 교육을 진행하는 플립러닝 기반의
학습방식을 진행중이다. 아울러 핵심가치와 관련한 활동을 뉴스기사 형태로 제작해 제공하고, 실천
사례 영역, 교육리뷰 영역, 설문조사 영역 등을 운영하며, 우수 실천사례 발굴 및 포상, 가이드북도
개발하고 있다.
2. 그린피플스㈜아그막은 핵심가치교육의 성공방법은 핵심가치를 숙지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작동하는 지에 대한 원리를 발견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현장감이 강한 ‘We are together’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이 일상적인 업무상황에서 어떤 원칙적 행동을 실행하는 것이 곧 회사의
핵심가치를 실천하는 것인지 스스로 정의하고 실천을 다짐하게 하여 핵심가치 내재화를 일깨운다.
3. 데일카네기코리아의 핵심가치 내재화 모댈은 감정 및 행동의 변화를 통한 결과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감정적 변화단계에서 발견하고 공유하였던 성공적 경험에서 진술한 활동, 프로세스, 규정, 상호작용
방식들을 구체적으로 진술되게 하여 조직 내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어 지고 강화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오디코리아는 핵심가치 내재화교육으로 ‘캐릭토라마’를 개발했다.
이는 ‘캐릭터 토이를 활용한 드라마’라는 정의의 핵심가치 내재화 교육방법론이다. 이는 교육생이
핵심가치가 실현되어 가는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여 스토리를 만들고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
이나 성격을 표현하여 스토리텔링 보드위에서 인형극 형태로 발표한다.
5. 윌스너스는 조직이 갖고 있는 강점과 긍정성을 이끌어내는 행동원칙이 되는 핵심가치를 이해하고
내재화하기 위해 긍정탐색(AI)모델을 기반으로 핵심가치교육을 운용한다.
6. 인코칭의 조직문화구축과정은 조직문화현황을 ‘OCAI(조직문화평가도구)’기법을 통해 분석해서
조직의 중장기 비전에 따른 조직문화 실행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해서
궁극적으로 조직문화가 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7. PSI컨설팅은 기업이 구성원들과 함께 가치체계를 수립하는 ‘가치수립 워크샵’을 통해 모든 구성원
들의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 낸다. 또 구조화를 위해서 ‘Value STAR’ 모델을 중심으로 이를 각
직급별 역할과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추가로 가치체계의 내재화를 이루기 위GO 중요한
리더의 역할을 ‘리더십 솔루션’을 프로그램을 통해 보완한다.
※ 기고자 : 월간HRD 8월호
한국HRD협회 /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