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전세계적으로 기업은 업무 몰입도를 높이고 행복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

있다.

오늘경영계는 기회와 장애물이 뒤섞여 있다, 대부분의 기업 또한 노동연령의

상승, 역량 부족, 성공계획의 부재, 유동적 노동력, 리더십 부족, 몰입도가 떨어

진 직원 등과 관련문제를 겪고 있으며 조직문화도 이에 포함된다.

조직문화는 기업이 업무를 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으로 사람의 행동에 영향미치는

가치, 신념, , 보상 체계를 포함한다. 우수한 리더십의 에 기업문화는

무수한 프로세스, 보상체계, 행동으기업에 내재되어 있다.

조직문화기업이 2016년에 가장 시급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Deloitte 연구결과를 보면, 조직문화는 전 세계 설문조사 응답자중 82%중요

또는 매우 중요함이라 답했으며 경쟁적 이점을 만들 있는 것으로 인정받았

.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기업이 조직문화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Deloitte의 연구결과를 보면 응답자28%만이 자사의 조직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동시에 19%는 자사의 조직문화가 알맞다고 응답

했다.

기업리더들이 조직문화가 사업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것임을 알고는

있지만 기업 내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화적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잘 모른다.

멘토링 기업문화의 한 부분에 포함되어야 하며, 기업이 착수할 변화경영

축을 차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멘토링을 통해 중대한 변화의 이유를 아는 것이

변화지속에 중요하고, 이를 통해 기업을 강화하고 실행과정에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갤럽조사 결과, 전 세계적으로 13%의 직원만이 업무에 몰입하고 있고, 직원의 업무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수히 많지만 조직문화가 그 중에서 가장 중요

하다.

문화가 직원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직원들

스스로를 가치 있다고 여기는 긍정적인 일터를 만드는데 중요.

그리Jonha Revesencio는 스스로 가치 있다고 느끼는 직원은 자신을 행복한

직원이라고 여긴다며, 행복한 직원은 다른 직원에 비해 12% 가까더 생산적

이지만, 불행한 직원은 다른 직원과 비교하였을때 10% 덜 생산적이라고 말한다.

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행복한 직원은 더 좋은 결정을 내리고 시간관리에 두각을

나타내며 다른 중요한 리더십 역량을 함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한다. ,

행복한 사람은 더욱 생산적이며 만족도가 높다.

직원행복에 깊이 관심을 가지는 Twitter, Southwest, Airlines, Google 등과

같은 좋은 기업들이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사람이 가장 중요자산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결과적으로 큰 성과를 도출하였. 궁극적으로 문화를 통해

직원은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조직문화직원이 가진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노력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강력한 조문화는 기업이 최고의 인재를 채용하여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성공한 시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행복문화를 만들기 위해 채택한 접근법 중 하나는 멘토링을 하고 학습 개발

환경을 새롭게 만드는 것이었다.

이들이 학습을 통해 성장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일터는 즐거운 공간이

되었다.

이를 통해 모든 직원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열심히 일했고, 우리는

직원과 일터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직률은 감소하였고, 생산성은 치솟았으며, 기업은 고객에 더욱 집중하였고,

기업의 문화는 고객, 가족, 직원 등의 삶에 영향을 주었다.

기업사람들이 일하고 싶어하는 곳이 되어,  결과적으로  행복문화를 시행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받은 혜택을 서로 나눌 수 있었다. 

※ 출처 : TD KOREA [2016. 7월호]   Talent C / Doug Law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