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인사업무 초기단계에서의 인사역량 강화

, HR Knowledge 다지기이다.

전반에 대한 인사관리 이론인사관련 법적지식을 말한다.

PHR이나 SPHR 등 국제공인자격증을 취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Skill 다지기이다.

많은 인사정보를 다루고, 다양한 자료를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Data Mining Skill, Analyzing Skill갖추어애 한다. 아울러 결과물을 어떻게

잘 전달할 지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스킬도 필요한다.

, 관계 다지기이다.

내부적으로선배와의 멘토링을 통해, 외부적으로는 포럼이나 네트워킹 및

벤치마킹 등을 통해 전반적인 인사체계와 트렌드에 대한 지식을 쌓고 이러

지식프로그램이나 실무에 반영하는 기회를 높일 수 있다.

, 생각 다지기이다.

업무에 대해 항상 생각하고 고민하는 습관을 갖게 되면 인사업무에

깊은 통찰과 함께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인사업무 심화단계에서의 인사역량 강화

, 우수인재 확보 개발이다.

인사담당자차별화된 EVP(Employment Value Proposition,

브랜드 이미지)구축하여 이를 기업 내외부적으로 잘 융합시킴으로써 기업의

입사선호도를 높이고, 우수인재의 유출을 예방하는 노력을 한다. 또한

인력문제 발생시 신속하게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간 세대와 가치관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성을 수용하고,

다양성을 오히려 성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여러 다양성 통합 프로그램개발 및

실행해야 할 것이다.

, 비즈니스 파트너가 되야 한다.

인사담당자누가 고성과자인지 저성과자인지, 그리고 누가 리더인지 팔로

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또한 보다 나은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연구해야 한다.

이러한 고민에 기반한 파트너링이때 비로소 인사는 비즈니스 조직이 원하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 효율적인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 운용이다.

인사담당자직원들의 불만을 최소회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회사

내외부에 있는 빅데이터를 정리, 관리하고 이를 프로그램 개발까지 연결시킬 수

있도록 데이터 관리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인사프로그적용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불만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여론을 확보한다면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적인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행 후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개선 운영하여야 한다.

,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조직을 조성하는 것이다.

변화와 속도의 시대에 인사담당자는 기업이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게 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인사담당자는 비즈니스 혹은 고객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하고, 또한

최고경영자심적/물적 컨설턴트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조직내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기업이 생존할 수 있도록 인사차원에서

해결책을 제시수 있어야 한다.

※ 출처 : 월간 인사관리(2016.06월호)

    한3M㈜ 인사지원본부 / 장효 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