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최근 OECD 주요국 연간 노동시간을 보한국은 2285시간, 미국은 1989시간,

독일1371시간을 일하며, OECD 평균은 1770시간이다.

우리나라근로자들은 독일과 비교하면 연간 914시간, 4개월이나

하지만 소득은 그 절반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그만큼 낮다는 뜻이다. 궁금한 것은 왜 그들

근로시간은 부가가치가 높냐는 것이다.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독일의 사무실이나

작업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우리나라 근로자들 더 똑똑하다거나, 더 열정적

으로 조직에 몰입한다고 말하기는 않다.

다른 이야기로, 세계지붕인 에베레스트 산은 오늘날 누구나의 발아놓일 수

있게 되었다것이다. 이것은 기술의 발달도 있지만 동시높아진 베이스캠프의

위치 때문이기도 하다.

과거달리 지금은 해발 6천 미터가 넘곳에 베이스캠프를 설치하기 때문

88백미터가 넘는 산이지만 6천 미터에서부터 오르기 시작한개인이

극복해야 할 어려움은 과거와 다를 것이다.

OECD 국가 가운데 생산성이 높은, 소위 선진국은 직업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베이스캠프가 높은 곳에 설치된 것으로 비유될 수 있다. 그들은 닦여진 기본과

기초 위에 최소한의 노력으로 부가가치가 높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는 10대 경제대국이라고는 하지만, 각 산업분야마다 잘 닦여진 베이스

캠프를 기반으로 이루어 냈다기 보다는 개인별로 투입한 엄청난 노력과

긴 노동시간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아직도 산업현장이나 등에서는 부분적으로 자신이 전임자의 흔적을 지우고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일을 잘 하고 열심히 했다고 자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이 지속될수록 우리사회는 축적된 공통의 기반부족해지,

각 개인이 수행해야 할 일의 양은 더 많고 힘들어 질 수 밖에 . 더군다나 요즘과

같은 저성장 시대에는 개별 근로자들의 열정만으로 더 이상의 도약은 쉽지 않다.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공동

의 길, ‘기준이다. 베이스캠프로 도달하는 길을 마련해 놓고, 기반으로

부가가치 높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창의력을 개발해한다.

따라우리사회는 이제 각 산업분야에서 수행하는 업에 대한 기준을 정하

베이스캠프를 높이는 일을 해야만 한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일을 하는 기준이고, 그 일하는 기준을 지식,

기술, 태도로 구분하고 체계화해 놓은 것이다. NCS에 따라 교육훈련이루어질 때

사회적으로 발생하는 여러가지 미스매칭현상을 줄여나갈 수 있다.

 

 

 

※ 출처 : 월간 HRD (2016.06월호)

    한국산업인력공단 NCS센터 / 양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