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인력수급 상황을 정확히 예측해서 인력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HR담당자의 기본과제중 하나이며

인력수급시 중요한 사항 중 하나가 이직률 관리이다.  통산 최근 몇년간의 실적 이직률을 기계적

으로 계산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몇 년 후의 상황이 예측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

낭패를 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직률 분석시 자발적 퇴직과 비자발적 퇴직을 구분하여 관리함은 물론 직급별 · 부문별 ·

근속년수별 등 다양한 항목별 특징을 분석하여 인력수급 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기업에서는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 많은 비용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대부분 기업은 신입사원

 중 1년내 이직률이 20%이상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로는 채용프로세스의 문제도 있을 수 있으나 입사 후 케어링시스템이 보다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신입사원이 조직문화에 빨리 동화되어 기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입사원 조기 전력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신입사원의 이직원인에 대한 분석 및 피드백 관리로 신입사원

이직률을 최소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자발적 이직자중 고성과자나 핵심인재 비율을 관리하여 회사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한 인재를

잃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성과와 핵심인재의 퇴직추이와 원인을 분석하면서 인사

정책에 반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정년이 60세 이상으로 연장되면서 청년 일자리 창출 문제와 함께 고령자의 생산성 관리방안이 HR

부문의 주요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역량 및 업무성과자 미흡한 인력의 재직기간이  길어짐으로써 생산성 저하는 물론 조직분위기

가 악화되어 우수인력의 의욕저하 혹은 전직을 초래하는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그레샴의

법칙이 나타날 수 도 있게 된다. 따라서 고성과자들의 우수한 성과를 유지하면서 저성과자에 대한

상시적인 퇴출관리를 실시하여성과주의 인사 기반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요즘과 같은 고임금 · 고생산성 시대에는 한 사람의 저성과자만 있어도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에 고용의 유연화를 위한 입법의 조기추진과 함께 전직지원 교육, 직장알선 등의 아웃플레이스

먼트(Outplacement) 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유능한 인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저성과자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구성원 개인별 차별화 인사관리, Individual Care 관점에서 저성과자에 대한 퇴직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출처 : 포스코에너지 / 양흥 경영지원본부장

월간 인사관 [2016. 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