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HRD 부문에서도 ‘Show me the money’라는 요청은 경영진으로 부터 흔하게 들을 수 있는
말이다. 교육평가의 체계에서 학습만족도평가, 학업성취도평가, 현업적용도평가 등 낮은 단계에서의
결과가 중요하긴 하지만, 교육효과의 경영성과에 대한 기여도를 금전적인 숫자로 환산하는 것은
경영자의 관점에서 더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교육의 효과를 금전적인 가치로 환산하기 위한 주요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측정단위를 결정한다.
첫째로 지표의 단위를 정의한다. 생산량과 관련된 데이터의 경우 지표의 단위는 생산된 물품의 개수,
제공된 서비스의 횟수, 또는 판매량 등이다.
시간과 관련된 지표는 업무에 걸리는 시간, 공정작업 시간, 또는 고객응답시간 등을 포함하여
단위는 보통 분, 시간 또는 일 등으로 표현된다.
2단계. 성과지표의 단위당 가치를 결정한다.
첫째 단계에서 정의된 성과자표별 단위에 금전적 가치를 부여한다.
단위당 금전적인 가치를 산출하기는 상대적으로 쉽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기업은 생산량, 판매량,
생산단위 한 개의 비용 또는 불량률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 및 보존하고 있기 때문
이다. 하지만 조직문화, 업무태도, 업무환경, 만족도, 능력개발 등 많은 정성적인 성격의
지표들은 ‘Standard Value’를 적용하는 방법외에 ‘Find the Value’의 방법을 통해 단위당 가치를
찾거나, ‘Calculate the Value’의 방법을 통해 계산하거나, ‘Estimate the Value’의 방법을 통해
단위당 가치를 추정하고 결정한다.
‘Philips’박사의 5단계 교육효과 평가모형인 ‘The ROI Methodology’에서는 다양한 정량적, 그리고
정성적인 데이터들의 금전적인 가치를 결정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11가지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Use Standard Values : ① 산출 결과자료의 활용, ② 품질비용의 계산, ③ 시간비용의 계산
- Find the Value : ④ 내/외부 전문가의 의견, ⑤ 외부 데이터의 활용
- Calculate the Value : ⑥ 과거비용의 활용, ⑦ 다른 성과지표와 연결
- Estimate the Value : ⑧ 참가자 추정의 활용, ⑨ 감족자 추정의 활용, ⑩ 경영층 추정의 활용,
⑪ HRD 직원의 추정활용
3단계. 성과지표의 변화정도를 측정한다.
교육의 효과를 다른 영향요인들로부터 분리한 후, 성과지표의 변화를 산출한다.
4단계. 성과변화의 연간가치를 결정한다.
연간가치는 특정교육의 수익을 산출하고 싶어하는 조직에 있어서 표준적인 접근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단계5. 성과향상의 총가치를 금전적 가치로 계산한다.
성과변화의 연간가치는 교육에 참여한 인원의 개인별 개선사항의 총 가치를 합산히여 연간단위로
계산한 결과이다.
[예시. 외식기업 영업점장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과정]
단계1. 측정단위 정의
입사후 60일이내에 발생하는 조기퇴직률을 측정단위로 정의함
단계2. 각 단위의 가치를 결정
내부 및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과 외부 연구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조기 이직의 평균비용은 $1,960 으로 추정함
단계3. 성과지표의 변화정도 측정
교육종료 6개월후에 조기 이직률은 28%에서 15%로 감소함. 이러한 성과향상에 있어서 교육의
기여도는 72%인 것으로 확인됨. 교육의 효과를 분리하기 위해 전체 성과향상 13%에 교육효과
기여도 72%를 곱하여, 궁극적으로 교육종료 6개월 후, 평균이직률이 9.4%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단계4. 성과변화의 연간가치를 계산
조기 이직률 9.4% 감소의 의미는 두 달에 평균 2.8명의 이직이 감소하였음을 의미함. 이를 연간
가치로 계산하면 2.8명 * 6 = 16.8명의 이직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단계5. 성과변화의 총 가치를 금전적 가치로 계산
연간가치 = 16명 * $1,960 = $31,360
출처 : ROI 인스티튜트코리아 / 안정훈 대표
월간 HRD [2016. 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