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매니저는 지시하기 보다는 도와주고 안내하는 모델, 참신한 에너지와

, 헌신을 이끌어낼 수 있게끔 직원들이 끊임없이 변화는 환경에

적응하법을 배우는 모델이다.

간단말하면 매니저가 코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코칭 갈수록 학습문화의 구성에 꼭 필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좋은

매니저라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익히고 쓸 줄 알아야 하는 기술이다.

우리말하는 코칭은 진정한 학습조직을 만드는 종류의 코칭으로,

끊임없이 신경을 써야 하는 일이다. 효과적으로 코치의 역할을 하는

매니저답을 주는 게 아니라 질문을 하고, 직원들평가하기 보다는

도와주, 해야 할 일을 지시하는 대신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수련된 코칭은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람들의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을 포함한다.

매니저들코칭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특히 학습조직이

라는 맥락 안에서 더 잘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를 2x2 표에

표시보면 다음과 같다. 한 축은 코치가 코칭을 받는 사람들과의 관계에

불어넣는 정보와 조언, 전문지식을 보여주고, 다른 한 축은 코치가

코칭 받는 상대의 통찰력과 해결책을 이끌어냄으로써 끄집어내는

동기부여적 에너지를 보여준다.

4사분면은 우리 프레임워크의 스위트 스폿상황적 코칭이다. 학습

조직에 속한 모든 매니저는 상황적 코칭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 상황적 코칭은 특정 순간의 구체적인 필요에 따라 지시적 코칭과

비지시적 코칭 사이에서 미세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미한다.       

회사가 진정한 학습조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경영자와

매니저가 좋은 코치가 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코칭을 기업문화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조직적 역량의 일부로 만들어야

한다. 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반하는 문화적

변화일으켜야 한다.

첫 번째 단계라는 질문을 명확하게 만들기이다.

매니저와 전문직 종사자들은 바쁜 사람들이다. 그들이 코칭을

단순히 개인적인 기술이 아니라 문화적인 강점의 원천으로 받아들이게

싶다면 코칭이 사업과 그들의 성공에 왜 유용한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두 번째 단계는 리더의 행동 모델링이다.

일하는 사람들이 코칭을 받아들이길 원한다면 당신부터 받아들여야 한다. 

모델링은 경영자가 말한 것을 스스로 실천한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강력하다. 게다가 탄력이 붙는다. 연구원들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이 적절한지

의심스러울 때 다른 사람들 ,특히 권력과 지위가 있는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번째 단계는 조직 전반에 걸친 역량 구축이다.

조직변화를 끝까지 이끌어내기 위해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해야 할

일은 피플 매니저재부팅시키는 것이다. 피플 매니저는 고객을

성공을 위해 최고의 역량을 가진 직원을 선택하고 성장시키고 동기를

부여하임무를 가지고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장애물 제거이다.

연말평가랭킹이 대체로 비생산적인 요식행위가 돼버린 것이다. 학습

 

조직으로의 변화를 추구하던 연구대상 회사는 이런 관행들이 개방적

이고 협력적인 대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그래서 성과평가

시스템포기하고 파트너들이 일년 내내 코칭 대화를 갖고 실시간

피드백제공하도록 훈련시켰다.

관리자들은 더 이상 단순히 명령과 통제만 할 수 없다. 또한 팀원들이

할 줄 알고 있는 것들을 완벽하게 실행한 것에 대해 보상하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 그 대신에 그들은 조직의 공식적인 지원을 통해

코치로자신을 재창조해야 한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로부터 에너지,

창의, 그리고 배움을 이끌어내는 코치로서 말이다. 

 

 

 

※ 출처 : HBR KOREA. 런던경영대학원 / 허미니 아이바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