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글로HRD의 흐름을 보여주는 핵심 키워드는 3가지로 디지털, 사업

성과, 체험이다.

, 디지털은 시장, 고객, 비즈니스, 조직과 구성원 모두를 바꿨다.

공지능, 머신 러닝, 가상현실, 데이터 애널리틱스 등의 기술적인 진화가 HRD

영향을 미쳤다.

, 기업의 사업성과에 대HRD의 실질적인 공헌이 요구받고 있다.

사업성과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면서 HRD에도 사업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 력한 체험을 통한 몰입과 교육 이후 실제 업무에서의 적용 강화가 중시됐다.

디지털사업성과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성원

교육에서 몰입을 유도하는 체험, 토론, 시뮬레이션, 발표,

가상체등의 중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HRD3가지 키워드는 실제 기업 현장에서 아래와 같은

트렌드로 이어지고 있다.

첫째, 디지털 조직으로의 급속한 변화다.

관건은 과연 어떤 기업들이 유연한 실행력을 발휘해서 조직과 구성원들의 디지털에

대한 변화수용성을 높이는가다.

, 디지털을 품은 HRD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스마트, 아이패드, 디지털 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도구가

기존의 교육과는 차별화된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 데이터의 중요성과 활용성이 증대했다.     

디지털의 적용을 통해 HRHRD많은 데이터의 통합과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HR Analytics. 궁극적으로 기업들은 데이터를 자사의 사업적 목적과 산업적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HR 전략을 실행하는 데 활용

하고 있다.

, HRD통한 사업성과 창출과 이에 기반한 결과측정에 대해 기대감이 높아졌다.

HRD의 미래는 사업성과를 담보하면서 행동변화도 일으키는 과정을 어느 기업이

성공적으로 설계해서 이끌어 나가는가에 달려있다.

다섯, 목적 지향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시장에서 기술, 투자금은 넘쳐나지만 이를 성과로 전환하고, 그에 맞춰 조직문화도

혁신하는 리더가 부족하단 인식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한 방향에서 쌍방향 몰입을 유도하는 체험 기반 자기주도적

경험이 중요해졌다.

자기주도적인 학습방식인 토론과 가상 체험은 참가자들이 교육내용을

기억하는효과적이었고 현업 복귀 후에도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가능성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실제 업무와의 연결성을 높이고 구성원들의 행동변화에 집중

하게 됐다.

구성원들이 급변하는 사업전략에 다라 본인들이 실제 업무에서 무엇을,

어떻바꿔야  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행동변화 지향점과 실행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인터벤션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경영환경급변하는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속도와 실행이며,

우리나기업들은 끊임없이 로벌 변화를 통찰하고 필요하면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 출처 : 월간 HRD / BTS/ 정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