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러닝 컬처 리더십


학습하는 조직을 만드는 리더의 대화 방식

 

"우리 조직, 교육은 많은데 왜 배움이 문화로 정착되지 않을까요?"

이는 많은 기업의 HRD 리더가 겪는 공통된 고민이다.

연간 교육 횟수도 늘었고, 이러닝, 워크숍, 리더십 과정도 운영된다.

그런데도 직원들은 여전히 학습은 내 일이 아니다라고 느낀다.

교육은 진행되지만, 조직은 배우지 않는다.

이 딜레마의 중심에는 리더의 대화 방식이 있다.

리더가 배움을 유도하고, 인정하고, 정당화하는 언어를 쓰지 않으면,학습은 시스템에 머물 뿐 문화로 확장되지 않는다.

 

 

학습문화는 시스템이 아니라 대화에서 만들어진다

 

조직문화란 결국 사람들이 매일 나누는 말의 분위기이자 해석의 습관이다.

러닝 컬처(learning culture)’도 예외가 아니다.

리더가 "이번 일에서 뭘 배웠지?"라고 묻는 조직은,구성원이 학습을 일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반대로 리더가 "왜 또 실수했어?"라고 묻는 조직에선,학습이 아니라 회피와 방어가 일상화된다.

학습문화는 정책이나 제도로 시작되지 않는다.

그것은 리더가 매일 어떻게 말하느냐에서 시작된다.

 

 

리더의 대화가 조직 학습에 미치는 4가지 영향

 

리더의 대화 기능

조직의 반응

문화적 결과

질문하기

생각을 열게 한다

호기심과 탐색의 문화

실수에 여백 두기

실패에 대해 이야기한다

심리적 안전감

피드백 주고받기

성찰의 기회를 갖는다

성장을 위한 피드백 문화

통찰 나누기

함께 배우게 된다

지식의 공유와 순환

 

조직은 결국 리더가 자주 묻는 질문을 따라간다.

 

 

러닝 컬처 리더가 자주 사용하는 5가지 대화 패턴

 

이번 경험에서 우리가 새롭게 알게 된 건 뭘까요?”

성과보다 배움에 집중하는 해석을 유도

잘못보다 통찰의 발견을 중요시함

 

이 일을 다시 한다면, 어떻게 다르게 해볼 수 있을까?”

회고와 반복 학습을 생활화

행동 전이와 개선 중심 문화 조성

 

그 아이디어 흥미롭네요. 좀 더 들어볼 수 있을까요?”

아이디어 제안을 허용이 아니라 격려로 표현

창의성 촉진과 대화의 확장

 

실수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그 다음이죠.”

실패에 대한 학습 친화적 관점을 제공

시도와 탐색을 긍정하는 분위기 조성

 

당신의 경험을 다른 동료들과도 공유해볼래요?”

개인의 배움을 조직 지식으로 연결

수평적 학습 공동체 유도

 

 

러닝 컬처 리더십을 실천하는 3가지 전략

 

1. 일상 회의에서 학습 질문을 심어라

성과만 묻는 회의는 학습을 가로막는다.

정기 회의에 배운 것 한 가지, 오늘의 실패 포인트 같은 질문을 구조화하면 대화의 깊이와 시야가 확장된다.

 

2. 완성된 답보다 좋은 질문을 훈련하라

러닝 컬처 리더는 정보보다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다.

답은 GPT가 줄 수 있지만, 질문은 리더만이 줄 수 있는 고유한 자극이다.

 

3. 피드백을 문화의 언어로 바꿔라

피드백은 학습의 엔진이다.

칭찬과 비판을 넘어, 당신의 성장을 돕고 싶어요라는 태도 대화로 표현할 때 진짜 학습 문화가 열린다.

 

 

말이 문화를 만들고, 문화가 배움을 이끈다

학습은 제도보다 말에 반응한다.

러닝 컬처란 결국,배움을 장려하는 언어를 매일 사용하는 조직이 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리더의 질문 하나, 피드백 한마디, 회의에서의 침묵조차

그 모두가 조직의 학습 분위기를 결정한다.

리더가 배우는 태도로 말하면,조직은 배우는 정체성을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