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3세기경에, 중국의 「차오(tsars)」라는 王은 그의 아들 「타이(Tai)」王子를 어느절로 보내 「판 쿠(Pan Ku)」라는 훌륭한 스승 수하에서 배울 수 있게 했다. 「타이」왕자는 「차오」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될 것이었으므로, 「판 쿠」선생은 「타이」왕자에게 훌륭한 통치자가 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을 가르치기로 했다. 왕자가 절에 도착하자, 선생은 왕자를 혼자 「밍리」라는 숲으로 보냈다. 1년이 지난 후 왕자는절에 다시 돌아와서 그가 숲에서 들은 소리를 설명하기로 했다. 「타이」왕자가 돌아왔을 때, 「판 쿠」선생은 왕자가 숲속에서 들을 수 있었던것을 모두 설명해 보도록 했다. 왕자는 "스승님, 저는 뻐꾸기의 울음소리, 나뭇잎이 살랑거리는 소리, 벌새들이 지저귀는 소리, 귀뚜라미의 울음소리, 풀들이 바람에 날리는소리, 벌들이 윙윙거리는 소리, 그리고 바람이 속삭이거나 고함치는 듯한 소리를 들을수 있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왕자가 대답을 마치자, 「판 쿠」선생은 왕자에게 숲으로 다시 돌아가서 그가 지금까지 들은 것 외에 더 많은 것을 들어보라고 말했다. 왕자는 이러한 스승의 말씀을 듣고 의아하게 생각했다. 이미 자기는 모든 소리를 분간해 내지 않았던가? 여러 낮과 밤을 계속하여, 어린 왕자는 다시 숲의 소리를 듣기 위해 홀로 않아 있었다. 하지만 왕자는 그가 이미 들었던 소리 이외의 다른 소리는 듣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날 아침 왕자는 나무 아래에 조용히 앉아 있었다. 그때 그는 그 전에 그가 들었던 것과는 다른 어떤 희미한 소리를 분별해 내기 시작했다. 좀더 자세히 들으면 들을수록,그 소리는 점점 선명하게 다가 왔다. 새로 깨어나는 듯한 느낌이 왕자를 감싸기 시작했다. 왕자는 "이러한 것들이 스승님이 나로 하여금 구별해 낼 수 있었으면 하셨던 소리임에 틀림없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타이」왕자가 다시 절에 돌아 왔을 때, 「판 쿠」선생은 왕자가 숲속에서 무슨소리를 더 들었는지 물어 보았다. 왕자는 공손하게 "스승님, 제가 더욱 더 자세히 들어보려고 하자, 지금까지는 들리지 않았던 것—즉 꽃이 피는 소리, 태양이 大地를 덥히는소리, 그리고 풀잎이 아침 이슬을 마시는 소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선생은 만족해하며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면서 「판 쿠」선생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해주었다. "들리지 않는 것을 들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훌륭한 統治者가 되기 위해서는꼭 필요한 훈련입니다. 왜냐 하면 통치자가 백성들의 마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그들의 감정, 표현되지 않은 그들의 고통, 그리고 말로 하지 않은 불평 등을 자세히 들으려고 할 때만, 그 통치자는 백성들의 신뢰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문제가 있을 때 그것을알게 되어 백성들의 진정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통치자가 단지 피상적인 이야기만 들으면서 백성들의 진정한 의견이나 감정 그리고 욕구를 듣기 위해 그들의 마음속 깊이 들어가 있지 못하게 되면 그러한 나라는 망하게 되는 법입니다." 출처:HBR July-August 1992 기업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조직의 리더가 보여지는 현상에만 급급한다면 조직의 진정한 문제를 찾을 수도 구성원간 신뢰를 형성 할 수도 없을 것 입니다. 리더는 누구보다 더 조직과 구성원의 보이지 않는 소리를 듣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