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현시대의 기업수직적 조직문화에서 수평적 조직문화로 그 형태를

달리하있다. 그 가운데 소통과 공감의 리더가 각광받는 시대로 접어

있다. 하지만 그간의 관성에 따라 고착화된 조직문화는 쉽사리

변화하않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그 해답으로 코칭을 손꼽는다. 코칭은 대상자가 진정으로

생각하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성찰하게 하고 그것을 달성하게 한다.

고현숙 국민대 리더십과 코칭 MBA 교수 겸 코칭경영원 대표코치는

코칭은 상대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끌어내는 것이라고 한다.

다시말해 조직에서 코칭한다는 의미는 상사가 지시, 조언, 훈계하기

보다는 후배의 관점에서 후배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질문하는

것이다.

그렇때문구성원의 자발성, 창의성, 주체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확신한. 그렇다고 코칭이 마냥 경청하고 그저 질문하는 것은 아니다.

코칭은 문제나 성과에 초점을 맞추는 대화이며, 미래지향적으로 그래서

지금 어떻게 해야 하느냐가 관건이다.

김영헌 CMOE 파트너 코치 겸 경희대 겸임교수는 코칭이 현재에서 도달

싶은 미래에 이르게 서포팅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코칭 지금까지 추진해왔던 방법을 리뷰하고, 한 번도 시도해 보지

않은 방법을 찾아 효과적으로 과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달성해 나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리더는 인정, 칭찬, 격려의 피드백을 통해 구성원이

자신감을 갖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목표를 이루어 가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서우경 한국상담코칭진흥원 원장 겸 캐럿글로벌 고문코치는 코칭을

통해 불가능한 미래를 리더가 어떻게 꿈꾸느냐에 따라 변화를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말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언급하며 사회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그것대응하는 것이 과제라고 한다.

코칭을 통해 타인이 생각하지 않은 부분을 발견할 수 있는 통찰력 발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안남바인그룹 고문코치 겸 캐럿글로벌 고문코치에 따르면 코칭은

경청, 인정, 지지하는 습관을 높여서 타인의 존재 자체를 존중하게 해준다

것이다.

처음에어렵더라도 코치들이 끊임없이 격려하고 피드백을 주

대상자들은 변화할 것이다. 또한 코칭의 핵심은 성찰과 질문이다.

코칭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질문을 던져보며 더 나은 해답을 찾기

노력하는 정이다. 그래서 코칭을 계속하다 보면 타인을 무시

하거나 타인에게 소외받지 않고, 온전한 자신만의 삶을 살아갈 수 있다.

 

 

 

※ 출처 : 월간 HRD / 한국HRD협회 / HRD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