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테크인터내셔날::::

HR자료실

4차 산업혁명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지난 성공스토리로 자축했던 과거를 잊어야 한다.

글로저성장기 장기화에 따른 적응력(Adaptation), 4차 산업혁명의 변화읽고 발 빠르게

대응하는 민첩성(Agility), 변화의 시대가 요구하는 필요역량의 확보 등 능력(Ability)dl 필요하다.

따라2017HRD부문이 고려해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환경 변화를 명확히 읽고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극복을 위한  방향 구심력을 강화하는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는 HRD부문의 주요 활동이었던 미션 비전 핵심가치의 내재화를 통해 조직의 구심력을 강화

하는 활동이 시급하고 중요하다것이다.

, 예측불허의 경영환경에 대응하는 능력인 민첩성(Agility)제고것이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도 바뀌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체보는 시각 즉 체제적 사고(Systems Thinking)를 강조하며, 시스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리하불확실성과 위기관리, 한 방향 조직문화의 공유 및 내재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제적

대응, 글로벌 경쟁력 및 인재육성 등이 중요화두가 되고 있다.

국내기업이 적용할 HRD부문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 비즈니스 성장동력으로써의 HRD 역할 전및 강화이다.

경영프로세스에 깊숙이 들어가 중장기 전략과 경영현장의 성과개선을 직접 지원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역할이 강조될 것으로 본다.

, 인재경영 및 인재상의 변화이다.

기업미래전략을 지원하는 통합 인재경영이 강조되며 문제해결능력, 창의, 다양성, 열정, 체계적

사고 등이 새로운 주인의식의 개념으로 전화되기업 인재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다.

, 리더십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Long Term 리더십, 동기부여와 소통 그리고 임파워먼트, 가치관 경영, 진정성, Facilitative 리더십,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 등이 강조될 것이며, 경영전반적인 상황을 볼 수 있는 시스템 리더십

부각되고 있다.

, 글로벌 전사의 육성이다.

다섯, 학습방법의 혁신적 전환이다.

가르치아니라 구성하는 것이며 개개인의 마음속에 숨어있는 잠재력끌어내는 학습활동

으로의 혁신이 필요하다.

여섯, 첨단 맞춤형 테크놀로지 학습방식인 스마트러닝이 더욱 보편화, 지능화것이다.

70:20:10(무형식학습 : 상사의 코칭 : 집합교육)Rule이 확산될 것이며 무형식학습시대가

본격화 될 것이다.

HRD 담당자의 역할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변화의 중심에 서서 조직에 자극을 주고 위기의식을 공유하는 등 관제역할이 필요하다.

, 전략적 비즈니스 파트너 역할이 더욱 증대되어야 한다.

HRD 리더인 CLO(Chief Learning Officer) 경영의 전략참모요, 현장리더들에게성과개선을

위한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 조직문화 특히 핵심가치의 수호자 역할이 중요하다.

넷째, Learning Technology 의 혁신으로 수많은 콘텐츠 환경에서 가장 알맞고 필요로 하는 지식

정보를 선별하고 기회를 만들어 주는 Digital Curator 또는 Content Navigator 의 역할이 필수적

으로 요구된다.

, 사람에 대한 사랑과 성공과 성과를 도와주는 인본주의자 또는 조력자의 역할은 반드시

수행해야 할 역할이다.

 

※ 출처 : 월간 HRD / 한양대 인재개발원 / 송영교수